회원 도메인과 리포지토리, 회원 서비스를 만들고
회원 리포지토리 테스트와 회원 서비스 테스트 케이스도 만들었다
테스트 케이스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고
내용을 짤 때
//given
//when
//then
주석을 활용하여 어떤 내용이 들어가면 좋을지 단계적으로 점검하면 좋다는 사실을 배웠다.
또한, 한번에 여러 테스트를 실행하면 메모리 DB에 직전 테스트의 결과가 남아서 다음 테스트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
@BeforeEach를 사용해 테스트 실행 전에 호출되며 테스트가 서로 영향이 없도록 항상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고,
의존관계도 새로 맺도록 하고,
@AfterEach 를 사용해 각 테스트가 종료될 때 마다 메모리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해주는 법을 배웠다.
<중요사항!>
**테스트는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. 테스트 순서에 의존관계가 있는 것은 좋은 테스트가 아니다
https://github.com/hunm719/inflearn-younghankim-spring
'인프런-김영한 스프링 강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프링 입문 '섹션 6-1' 부터 '섹션 6-2' 까지 (0) | 2023.02.16 |
---|---|
스프링 입문 '섹션 4' 부터 '섹션 5' 까지 (0) | 2023.02.10 |
스프링 입문 '섹션 0 부터 섹션 3-2' 까지 (0) | 2023.02.05 |